주식 이야기/배당 투자

미국 고배당 주식 사이먼프라퍼티(SPG) 투자 체크

flying 2021. 1. 31. 20:36

안녕하세요. 날고싶은아범입니다.

 

1998년 이후로 꾸준히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는 우량주 사이먼 프라퍼티를 소개하고

현재 주요 기업 상황을 투자 관점에서 체크해보록 하겠습니다. 출발~!


사이먼 프라퍼티 소개

 

 

사이먼은 쇼핑, 식사, 엔터테인먼트 등의 복합 쇼핑몰을 소유하고 있는 부동산 투자 리츠 회사입니다.

쇼핑몰에 입점한 업체에 임대료를 받아 투자자들에게 배당을 지급하는 사업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리얼티인컴때 소개드렸지만 리츠회사는 순이익의 90%를 주주에게 배당해야 합니다)

만약 사이먼에 투자할 경우 소액 건물주가 되는셈이겠네요!

미국 뿐 아니라 유럽 및 아시아 전역에 230개가 넘는 자산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신세계와 합작하여 여주, 파주, 부산, 시흥 아울렛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사이먼 프라퍼티 투자 가능성 체크

 

1. 배당

 

 

 

Simon은 2010 년 이후 매년 배당금을 늘렸습니다.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에는 배당금을 삭감했지만 3년 후 다시 배당금을 회복하고, 2배이상 배당금이 성장했습니다.

이번 코로나때도 약 38%의 배당금을 삭감한 상태이지만

시가 배당률은 약 5.5%로 배당금이 다시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 경우 약 8% 수준의 배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위기때마다 배당컷이 있어와서 배당 장기투자로는 매력이 떨어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임대료 회수

 

 

 

 

2020년 3분기를 기준으로 85%의 회수율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2분기 72%임대료 회수율보다 상승한 수치라 고무적입니다.

2월 8일 4분기 실적 발표 예정인데 실적 발표 후 회사 주요 상황을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추가적으로 임대료 회수에 대해 강력한 대응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사이먼 프라퍼티의 최대 임차인인 갭(GAP, 티커GPS)을 상대로

약 800억원의 임대료 미지불에 대한 소송을 걸은 상태입니다.

갭의 경우 사이먼 프라퍼티가 운영하는 몰에 412개의 매장이 입주해 있다고 하네요.

최대 임차인과의 관계를 고려하면 안타깝지만 냉정하게 보면

이 사례로 다른 임차인에게 임대료 딜레이가 될 경우 본보기를 보여주는 잘한 판단이라 생각됩니다.

 

한편, 임차인 갭의 임대료 지급 능력이 중요하니 갭의 최근 매출 상황을 보면

 

 

다행히 2020년 5월 이후로는 매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영업이익도 흑자로 전환되었습니다.

 

 

 

 

 

3. 주식 가격

 

 

코로나 최저점 $41.69대비 $100까지 주가가 회복한후 1월 29일 기준으로

$93으로 다소 떨어진 상황입니다.

현재 저점에서 반등했음에도 코로나 이전 몇년대비 50%주가가 낮게 거래되고 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로 보복 소비가 일어나고, 백신의 투여 효과가 좋아 셧다운이 다 풀릴 경우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주가가 회복된다면 주가 수익 증가도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최근 주가가 크게 반등하여 조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4. 자산 확장과 리스크

 

터브먼 센터스의 합병이 무산되었습니다.

터브먼(티커 TCO)은 사이먼 프라퍼티와 함께 리테일 리츠 시대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기업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신계계와 합작 출자해 스타필드를 오픈했었죠.

개인적으론 사이먼이 덩치가 큰 터브먼을 합병하지 않은 선택은 현 상황에서

잘한 선택이라 생각됩니다.

 

대신 사이머은 포에버21, 제이시 페니 등을 비교적 싼값에 인수했습니다.

이 인수에 대한 전략 배경으로 '위기를 기회로'라고 시장은 해석하고 있습니다.

포브스의 리테일 전문 컬럼리스트 샌포드 스테인은

이커머스로 향후 미국 1000여개 쇼핑몰 가운데 30%가 사라지고, 600여개 남을 경우

사이먼의 200여개 쇼핑몰이 대부분 살아남는다는 주장을 했습니다.

사이먼은 경쟁 쇼핑몰이 파산할 경우 그 만큼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사이먼 프라퍼티 요약

 

긍정적 부분

사이먼 주가는 현재 저점에서 반등했음에도 코로나 이전 몇년대비 50%주가가 낮게 거래되고 있습니다.

임대료 회수에 대한 강경 대응은 긍정적입니다.

백신 투여로 컨택트가 살아날 경우 주가 회복 및 배당 성장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코로나 상황에서도 자산을 확대해 나가는 것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위기이자 기회관점에서 긍정적 해석)

 

부정적 부분

최근 신용 평가 업체에서는 자금 흐름에 부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습니다. (S&P GLOBAL A-등급)

위기 때 배당컷이 있어와서 배당 장기투자로는 매력이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은 장기적으로 오프라인 쇼핑 시장 성장에 저해가 될 수 있습니다.

 

 

 

얼마전 프리미엄 아울렛에 방문한적이 있는데

코로나 상황에서도 사람들이 매우 붐비는걸 목격했습니다.

온라인 쇼핑으로 추세가 많이 바뀌고 있지만

쇼핑 그 자체 이상, 즉 사람들(가족, 연인 등)과 함께 소비를 즐기는

문화가 쉽게 없어지진 않겠구나라는 부분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저는 꽤 높은 비중으로 투자를 하고 있고, 회사의 재무 상황들을 체크해 나가면서

투자 지속을 고려해볼 계획입니다.

 

 

이상

날고싶은아범이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투자의 책임은 본인게 있습니다! 항상 성공 투자 하세요~!!